(매일큐티)하나님의 자녀임을 믿음으로 고백하라 에스더 3:1~6
(매일큐티)하나님의 자녀임을 믿음으로 고백하라 에스더 3:1~6
1 그 후에 아하수에로 왕이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의 지위를 높이 올려 함께 있는 모든 대신 위에 두니
2 대궐 문에 있는 왕의 모든 신하들이 다 왕의 명령대로 하만에게 꿇어 절하되 모르드개는 꿇지도 아니하고 절하지도 아니하니
3 대궐 문에 있는 왕의 신하들이 모르드개에게 이르되 너는 어찌하여 왕의 명령을 거역하느냐 하고
4 날마다 권하되 모르드개가 듣지 아니하고 자기는 유다인임을 알렸더니 그들이 모르드개의 일이 어찌 되나 보고자 하여 하만에게 전하였더라
5 하만이 모르드개가 무릎을 꿇지도 아니하고 절하지도 아니함을 보고 매우 노하더니
6 그들이 모르드개의 민족을 하만에게 알리므로 하만이 모르드개만 죽이는 것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아하수에로의 온 나라에 있는 유다인 곧 모르드개의 민족을 다 멸하고자 하더라
(에3:1-6)
1.모르드개는 어떤 명령에 불복합니까?(2절)
2.하만이 모르드개에게 분노하며 적개심을 품고 꾸민 일은 무엇입니까?(6절)
3.모르드개는 왜 하만에게 꿇어 절하지 않습니까?
4.하나님께서 유다인임을 감추던 모르드개로 하여금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게 하시는 것을 보며 무엇을 느낍니까?
5.내가 그리스도인임을 드러내지 않으려 했던 적이 있다면 언제입니까? 세상 사람들과의 만남에서도 내가 그리스도인임을 당당히 밝히기 위해 오늘 무엇을 결단하겠습니까?
아각 사람(1절) 아말렉의 후손임. 아말렉 족속은 출애굽한 이스라엘을 침공해 하나님께서 싸우라 명하신 바가 있음
어찌 되나 보고자 하여(4절) 타인의 불행을 구경거리로 삼는 인간의 야비한 호기심을 엿볼 수 있음
아하수에로의 온 나라에 있는 유다인(6절) 아하수에로가 통치하던 시절은 이스라엘이 바사의 지배를 받고 있던 때이며,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남아 있는 이들도 상당수였음
모르드개는 에스더가 왕후가 된 뒤에도 자신이 유다인임이 알려지지 않도록 애씁니다. 하지만 더 이상 숨길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합니다.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아하수에로가 하만을 흡족히 여겨 모든 신하 중의 신하로 신분을 격상시켰고, 이로 인해 궁궐 문에 앉았던 왕의 신하들은 하만에게 절을 해야 했습니다(1~2절). 그러나 모르드개는 유다인이기에, 절하는 것을 우상 숭배와 같은 것으로 여겨 불복합니다(4절). 그러자 하만은 자신의 분노를 모르드개 한 개인이 아닌, 바사에 남아 있는 모든 유다인에게로 돌립니다(5~6절). 사실 모르드개는 이런 문제가 생길까 봐 자신이 유다인임을 숨겨 왔지만, 결국에는 자신의 정체성을 밝힐 수밖에 없게 된 것입니다. 이제 하만의 화살은 온 유다인을 향하게 됐으며, 남은 유다인도 이 질문 앞에 반응해야 했습니다. 고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쥐 죽은 듯 하나님을 언급하지 않고 살던 이들에게 하나님께서는 고백을 받기로 하십니다. 그렇다면 하나님께서 내게도 이 고백을 원하실 때, 나는 어떻게 반응하겠습니까?
억지로 하는 고백이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진심 어린 고백을 쏟아 내는 제자가 되게 하소서.
#매일큐티 #큐티 #QT #매일QT
#하나님의자녀임을믿음으로고백하라
#에스더장1절에서6절
#진심어린고백 #에스더큐티